- Tracking code
top of page

"인간 수준 미세 감각개발이 휴머노이드 기술의 핵심"

ree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휴머노이드(인간형) 잠재 시장 규모가 2035년 60조달러(약 8경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 세계 '휴머노이드 빅뱅'이 펼쳐지면서, 우리 정부도 올해 4월 산업통상부 주도로 산·학·연·정 협력체 'K-휴머노이드 연합'을 출범시켰다.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 패권을 겨루는 열강 사이에서 한국이 취할 수 있는 경쟁력은 무엇일까.



"휴머노이드의 핵심은 '피지컬 인터랙션(Physical Interaction·물리적 상호작용)'을 통한 '피지컬 AI'의 구현이다. 인간의 노동력을 보완 또는 대체하기 위해선 사람 수준의 범용성과 미세한 감각 및 운동 기능이 핵심이다. 이러한 초정밀 첨단 기술력을 키우는 것이 한국 휴머노이드의 경쟁력이 될 것이다."



이윤행 에이딘로보틱스 대표는 지난 9월 17일 경기 안양시 본사에서 주간조선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최혁렬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와 당시 이윤행 박사가 2019년 연구실에서 공동 창업한 로봇 센서 전문기업이다. 힘·토크 센서와 그리퍼(로봇 손) 등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K-휴머노이드 연합'에 참여했고, 이 대표는 총괄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이 대표는 로봇이 다양한 현장에서 사람처럼 쓰이려면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 오감을 통해 감각을 느끼고 힘을 조절하며 작업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사람과 로봇의 협동으로 수반되는 물리적 접촉에 따른 안전성 확보도 필수라고 꼽는다. 보다 똑똑하고 안전한 K-휴머노이드를 위해 피지컬 인터랙션 기술로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실제 현장에서 쓸모 있고 비용 대비 노동 효율적인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가 관건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제조업 현장의 숙련된 노동 암묵지(말과 글로 기록할 수 없는 지식)가 풍부한 것으로 손꼽힌다. 이 대표는 고급 노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휴머노이드의 '뇌(AI)'와 '감각(센서)'을 꾸준히 업그레이드하면 한국의 기술력이 글로벌 경쟁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후략)



댓글


(주)에이딘로보틱스, AIDIN ROBOTICS Inc.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355-87-01439

대표자: 최혁렬, 이윤행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3-안양동안-1570호

5F, 12-20, Simin-daero 327beon-gil, Dongan-gu, Anyang-si,Gyeonggi-do, South Korea (14055)​

영업/마케팅/PR: sales@aidinrobotics.co.kr | 채용문의: hr@aidinrobotics.co.kr | 기업문의: info@aidinrobotics.co.kr |  Tel: +82-31-360-7926

Copyright @ AIDIN ROBOTICS 2024   I  개인정보처리방침

AIDIN ROBOTICS

  • LinkedIn
  • Grey Facebook Icon
  • 회색 유튜브 아이콘
  • Grey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